맨위로가기

로드 오브 카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 오브 카오스''는 1990년대 노르웨이 블랙 메탈 밴드 메이헴과 관련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1987년 결성된 메이헴은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를 중심으로 보컬 데드, 베이시스트 네크로부처 등이 참여했으며, 데드의 자살, 유로니무스의 살인 사건 등 일련의 사건들을 겪는다. 유로니무스는 레코드 샵 헬베테를 운영하며 블랙 메탈 인너 서클을 형성하고, 바르그 비케르네스를 영입하여 교회 방화 사건에 연루된다. 유로니무스와 바르그의 갈등은 결국 유로니무스의 죽음으로 이어진다. 이 영화는 제작 과정을 거쳐 비평가들의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실제 인물들의 반응 또한 엇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랙 메탈 - 언블랙 메탈
    언블랙 메탈은 블랙 메탈의 음악적 특징을 차용하여 빠른 템포, 스크리밍 창법 등을 사용하며, 반(反)사탄주의, 개종, 구원 등을 주제로 하는 기독교적 가사의 음악 장르이다.
  • 블랙 메탈 - 콥스 페인팅
    콥스 페인팅은 블랙 메탈 음악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화장 기법으로, 얼굴을 하얗게 칠하고 눈과 입 주위를 검게 칠하는 것이 특징이며, 록 음악에서 시작되어 익스트림 메탈, 노르웨이 블랙 메탈 씬을 거치면서 죽음, 어둠 등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과 엔터테이너들이 자신만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 비밀결사를 소재로 한 영화 - 마터스: 천국을 보는 눈
    마터스: 천국을 보는 눈은 2008년 개봉한 프랑스 공포 영화로, 고문에서 탈출한 뤼시의 복수와 비밀 결사의 고문 실험을 통해 영적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폭력적으로 묘사한다.
  • 비밀결사를 소재로 한 영화 - 테넷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테넷》은 시간을 거꾸로 되돌리는 기술을 사용하는 비밀 조직에 합류한 CIA 요원이 미래의 인류 멸망을 막기 위해 러시아 재벌의 음모를 막는 공상과학 스파이 액션 영화로, 시간 역행 설정과 복잡한 플롯, 배우들의 열연으로 호평과 혹평이 엇갈렸지만 전 세계적으로 흥행했다.
  • 음악 그룹을 소재로 한 영화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는 아이슬란드 밴드 파이어 사가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하기 위한 여정을 코믹하게 그린 영화이며, 예상치 못한 사건과 음모 속에서 진정한 가치를 깨닫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음악 그룹을 소재로 한 영화 - 밴드 에이드 (영화)
    잦은 다툼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부가 밴드를 결성하여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을 그린 2017년 미국 코미디 드라마 영화 《밴드 에이드》는 조이 리스터-존스가 각본, 감독, 주연을 맡았으며, 선댄스 영화제에서 첫 공개 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드 오브 카오스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불타는 교회 앞에서 팔을 든 블랙 메탈 공연자 세 명의 실루엣
영국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요나스 오케르룬드
각본데니스 망누손
요나스 오케르룬드
원작마이클 젠킨스 모이니한, 디드릭 쇠데르린의 로드 오브 카오스
제작퀘시 딕슨
대니 가바이
짐 자르네키
에리크 고든
잭 아버스노트
고 모리
주연로리 컬킨
에모리 코헨
잭 킬머
스카이 페레이라
촬영페르 M. 에크베리
편집리카르드 크란츠
음악시gur 로스
제작사건파우더 & 스카이
20세기 폭스
바이스 필름스
인서전트 미디어
스콧 프리 필름스
RSA 필름스
일레븐 아츠
배급사애로우 필름스 (영국)
건파우더 & 스카이 (미국)
노르디스크 필름 (스웨덴)
개봉일2018년 1월 23일 (선댄스)
2019년 2월 8일 (미국)
2019년 3월 29일 (영국)
2019년 4월 5일 (스웨덴)
2021년 3월 26일 (일본)
상영 시간118분
제작 국가영국
스웨덴
미국
노르웨이
언어영어
흥행 수입343,402 달러

2. 줄거리

1987년, 젊은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는 노르웨이에서 블랙 메탈 밴드 메이헴을 결성하고, 네크로부처, 만하임과 함께 활동했다. 만하임이 떠난 후 헬해머가 합류하고, 스웨덴 출신 보컬 데드가 영입된다. 데드는 라이브 공연에서 자해를 하고 관객에게 피를 뿌리는 등의 기행을 일삼았다.[43][45]

1991년, 데드는 칼로 손목과 목을 긋고 샷건으로 자살했는데, 유로니무스는 이를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하는 대신 사진을 찍고 두개골 조각으로 목걸이를 만드는 등 비상식적인 행동을 했다. 이로 인해 네크로부처는 밴드를 탈퇴했다.[43]

이후 유로니무스는 블랙 메탈 레코드 레이블과 헬베테라는 음반 가게를 열었다. 헬베테는 다크쓰론의 펜리즈, 엠페러의 파우스트, 부르줌의 바르그 비케르네스 등 블랙 메탈 팬들의 모임 장소가 되었고, 이들은 "블랙 서클"로 불렸다. 유로니무스에게 반감을 가진 바르그는 교회를 불태웠고, 유로니무스 역시 바르그, 파우스트와 함께 교회 방화에 가담했다.[43][45]

바르그는 메이헴의 베이시스트로 합류하고, 블랙손, 아틸라 치하르와 함께 ''De Mysteriis Dom Sathanas'' 앨범을 녹음한다. 그러나 바르그와 유로니무스 사이에 갈등이 심화된다. 교회 방화와 파우스트의 동성애자 살인 사건 이후, 경찰은 블랙 메탈 씬을 수사하기 시작했고, 헬베테는 문을 닫았다. 바르그는 인터뷰에서 범행을 자랑하다 체포되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났다.[43][45]

바르그는 유로니무스에게 자신의 레이블을 시작하겠다며 메이헴 탈퇴를 선언한다. 유로니무스는 바르그에게 분노하며 살해 의사를 드러냈고, 바르그에게 계약서를 보내 음악 권리를 넘기려 했다. 유로니무스의 살해 협박을 들은 바르그는 오슬로로 찾아가 유로니무스를 살해했다. 바르그는 유로니무스 살해와 교회 방화 혐의로 21년 형을 선고받았다.[43][45]

2. 1. 메이헴 결성과 데드의 합류

1987년, 유로니무스는 노르웨이에서 블랙 메탈 밴드 메이헴을 결성한다. 베이스에는 네크로부처, 드럼에는 만하임이 참여했다.[43][45] 만하임이 밴드를 떠나고 헬해머가 새 드러머로 교체되었으며, 스웨덴 출신의 보컬리스트 데드가 합류하였다.

데드는 라이브 공연에서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보였다. 그는 스스로를 베고 관객에게 피를 뿌리고, "포저들"에게 돼지 머리를 던지기도 했다.

2. 2. 데드의 자살과 유로니무스의 반응

1991년, 메이헴의 보컬 데드는 혼자 있을 때 칼로 손목과 목을 긋고, 유로니무스의 샷건으로 이마에 총을 쏴 자살했으며, 유서를 남겼다.[43]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시신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하는 대신 시신의 위치를 바꾸고 사진을 찍었다.[43] 데드의 시신이 영안실로 옮겨진 후,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두개골 조각으로 목걸이를 만들어 다른 멤버들에게 주었다.[43]

친구의 죽음에 대한 유로니무스의 이러한 비윤리적인 행동에 충격을 받고 혐오감을 느낀 네크로부처는 밴드를 탈퇴했다.[43]

2. 3. 블랙 서클과 교회 방화

유로니무스는 자신의 블랙 메탈 레코드 레이블을 시작했고, 헬베테 ("지옥")라는 음반 가게를 열었다. 이곳은 메탈리온, 다크쓰론의 펜리즈, 엠페러의 파우스트, 부르줌의 바르그 비케르네스와 같은 블랙 메탈 팬들의 사교 모임이 되었고, 이들은 "블랙 서클"로 알려지게 된다.[43][45] 유로니무스에게 조롱받던 반기독교 성향의 바르그는 지역 교회를 불태웠다. 바르그가 블랙 서클의 리더로서 유로니무스의 지위에 대해 질문하자, 유로니무스는 파우스트, 바르그와 함께 교회를 불태웠다.[43][45]

유로니무스는 바르그를 베이시스트로 영입하고, 블랙손이라는 기타리스트와 헝가리 출신 보컬리스트 아틸라 치하르를 영입하여 메이헴의 첫 번째 앨범인 ''De Mysteriis Dom Sathanas''를 녹음한다. 이 과정에서 바르그와 유로니무스 사이에 권력 다툼이 일어난다.

일련의 교회 방화 사건과 파우스트의 동성애자 살해 사건 이후, 경찰은 지역 블랙 메탈 씬 멤버들을 범죄와 연관시키기 시작한다. 헬베테는 문을 닫고, 바르그는 베르겐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범죄에 대한 책임을 자랑한 후 유력한 용의자로 체포되었지만, 증거 부족으로 곧 풀려난다.[43][45]

2. 4. 유로니무스와 바르그의 갈등

유로니무스는 바르그를 베이시스트로, 블랙손이라는 기타리스트와 헝가리 출신 보컬리스트 아틸라 치하르를 영입하여 메이헴의 첫 번째 앨범인 ''De Mysteriis Dom Sathanas''를 녹음한다. 바르그와 유로니무스 사이에는 권력 다툼이 일어난다.[43][45]

2. 5. 유로니무스의 죽음

유로니무스는 가게를 정리하면서 바르그에 대해 동료에게 분노를 터뜨리며 그를 죽이고 싶다는 의사를 표한다. 진정된 후, 유로니무스는 바르그에게 계약서를 보내 그에게 음악 권리를 넘겨준다. 유로니무스의 살해 협박을 들은 바르그는 그를 대면하기 위해 오슬로로 향한다. 바르그는 계약서에 서명하고 싶다고 말하며 유로니무스를 설득하여 아파트에 들어간다. 하지만 안으로 들어가자 바르그는 짧은 대화 후 그를 찌른다. 바르그는 유로니무스가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것을 무시한 채 그를 아파트 밖 계단으로 쫓아가 찔러 죽인다.[43][45] 유로니무스 살해 소식이 노르웨이 전역에 퍼졌고, 바르그는 곧 체포된다. 그는 유로니무스 살해와 여러 교회 방화 혐의로 기소되어 최대 21년 형을 선고받는다.[43][45]

3. 등장인물

영화 "로드 오브 카오스"는 블랙 메탈 밴드 메이헴과 그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배우역할 및 설명
외스틴 "유로니머스" 오셰트로리 컬킨메이헴의 기타리스트이자 리더.
크리스티안 "바르그" 비케르네스에모리 코헨버줌의 보컬이자 메이헴의 베이시스트.
펠레 "데드" 올린잭 킬머메이헴의 보컬리스트. 자해와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얀 악셀 "헬해머" 블롬베르그앤서니 드 라 토레메이헴의 드러머.
요른 "네크로부처" 스터베루드조나단 반웰메이헴의 초기 베이시스트. 데드의 죽음에 충격을 받고 밴드를 탈퇴한다.
보르드 굴드비크 "파우스트" 에이툰발테르 스카르스고르드엠페러의 전 드러머이자 블랙 서클의 일원. 동성애자를 살해한다.
안-마릿스카이 페레이라사진작가를 지망하는 여성으로, 유로니무스의 연인이다.
존 "메탈리온" 크리스티안센샘 콜먼유로니무스의 친구이자 블랙 메탈 씬의 주요 인물. 메이헴의 카메라맨으로 활동한다.
스노레 "블랙손" 루치윌슨 곤잘레스 옥센크네흐트바르그의 친구이자 블랙 서클의 일원. 바르그의 운전사 역할을 한다.
아틸라 치하르아리온 치샤르메이헴의 세션 보컬리스트.
셰틸 만하임제임스 에드윈메이헴의 초기 드러머.
핀 텐더구스타프 함마르스텐
스티안 "오컬투스" 요한센루시안 찰스 콜리어
노르웨이 뉴스캐스터아네테 마르틴센
귈베 "페너즈" 나겔앤드루 라벨
본인제이슨 아르노프
마그네 안드레아센욘 외이가르덴파우스트에게 살해당한 동성애자 남성.


3. 1. 메이헴 멤버

메이헴은 1987년 유로니무스가 노르웨이에서 결성한 블랙 메탈 밴드이다. 초기 멤버는 네크로부처(베이스), 만하임(드럼)이었다. 이후 만하임이 탈퇴하고 헬해머가 새 드러머로, 스웨덴 출신 보컬 데드가 합류한다.

데드는 라이브 공연에서 자해를 하고 관객에게 피를 뿌리는 등 과격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그러나 자택에서 칼로 손목과 목을 긋고 샷건으로 자살했다.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시신을 발견하고 사진을 찍은 뒤, 두개골 조각으로 목걸이를 만들어 다른 멤버들에게 주었다. 이 행동에 충격을 받은 네크로부처는 밴드를 탈퇴한다.

이후 유로니무스는 헬베테라는 음반 가게를 열고, 블랙 메탈 팬들의 사교 모임인 "블랙 서클"을 이끌었다. 부르줌의 바르그 비케르네스를 베이시스트로 영입하고, 블랙손(기타), 헝가리 출신 보컬 아틸라 치하르와 함께 메이헴의 첫 앨범 ''De Mysteriis Dom Sathanas''를 녹음한다. 그러나 바르그와 유로니무스 사이에는 권력 다툼이 벌어졌고, 결국 바르그는 유로니무스를 살해한다.

영화 "로드 오브 카오스"에서는 메이헴 멤버들과 관련 인물들을 다음과 같은 배우들이 연기했다.

인물배역역할
외스테인 "유로니무스" 오셰트로리 컬킨메이헴 기타리스트
크리스티안 "바르그" 비케르네스에모리 코헨메이헴 베이시스트, 버줌 보컬
펠레 "데드" 올린잭 킬머메이헴 보컬리스트
얀 악셀 "헬해머" 블롬베르그앤서니 드 라 토레메이헴 드러머
요른 "네크로부처" 스터베루드조나단 반웰메이헴 초기 베이시스트
아틸라 치하르아리온 치샤르메이헴 세션 보컬리스트
셰틸 만하임제임스 에드윈메이헴 초기 드러머
보르드 굴드비크 "파우스트" 에이툰발테르 스카르스고르드엠페러 전 드러머, 헬베테 직원
안-마릿스카이 페레이라사진작가 지망생, 유로니무스 연인
존 "메탈리온" 크리스티안센샘 콜먼유로니무스 친구, 메이헴 카메라맨
스노레 "블랙손" 루치윌슨 곤잘레스 옥센크네흐트바르그 친구, 동거인, 운전사


3. 1. 1. 외스테인 "유로니무스" 오셰트 (로리 컬킨)

로리 컬킨이 연기한 외스테인 "유로니무스" 오셰트는 메이헴의 기타리스트이자 리더였다.[1] 1987년, 유로니무스는 네크로부처, 만하임과 함께 메이헴을 결성했다.[1] 만하임이 밴드를 떠난 후, 헬해머가 새 드러머로, 스웨덴 출신 보컬리스트 데드가 합류했다.[1]

데드의 자살 이후, 유로니무스는 그의 시신 사진을 찍고 두개골 조각으로 목걸이를 만들어 멤버들에게 나눠주었다.[1] 친구의 죽음에 대한 유로니무스의 태도에 충격을 받은 네크로부처는 밴드를 탈퇴했다.[1]

이후 유로니무스는 자신의 블랙 메탈 레코드 레이블을 시작하고, 헬베테라는 음반 가게를 열었다.[1] 이곳은 다크쓰론의 펜리즈, 엠페러의 파우스트, 부르줌의 바르그 비케르네스 등 블랙 메탈 팬들의 사교 모임 장소가 되었고, 이들은 "블랙 서클"로 알려졌다.[1]

유로니무스는 바르그를 베이시스트로 영입하고, 블랙손, 헝가리 출신 보컬리스트 아틸라 치하르와 함께 메이헴의 첫 앨범 ''De Mysteriis Dom Sathanas''를 녹음했다.[1] 하지만 바르그와 유로니무스 사이에는 권력 다툼이 일어났다.[1]

바르그는 유로니무스에게 자신의 레코드 레이블을 시작할 계획으로 메이헴을 떠난다고 말했다.[1] 유로니무스는 두개골 조각 목걸이가 가짜였고, 자신의 폭력적인 사고방식은 밴드를 위한 가면일 뿐이라고 밝혔다.[1]

가게를 정리하면서 유로니무스는 바르그를 죽이고 싶다는 의사를 표했다.[1] 이후 유로니무스는 바르그에게 계약서를 보내 음악 권리를 넘겨주려 했지만, 바르그는 유로니무스를 찾아가 찔러 죽였다.[1]

3. 1. 2. 크리스티안 "바르그" 비케르네스 (에모리 코헨)

에모리 코헨이 연기한 크리스티안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솔로 밴드 버줌의 보컬이자, 나중에 메이헴의 베이시스트가 된다. 바르그는 메이헴의 라이브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유로니머스의 레코드 숍 헬베테를 방문하여 메이헴의 세션 멤버로 합류한다. 그는 유로니머스, 파우스트와 함께 교회를 방화하는 등 과격한 행동을 일삼는다.

바르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교회 방화를 스스로 밝히며 경찰에 체포되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난다. 유로니머스와의 갈등이 심화되자, 유로니머스가 자신을 살해하려는 계획을 알게 된다. 결국 바르그는 유로니머스에게서 온 계약서에 서명하기 위해 을 들고 그의 집으로 찾아가 살해한다.

3. 1. 3. 펠레 "데드" 올린 (잭 킬머)

Per Yngve Ohlin|페르 잉베 올린sv (잭 킬머 분)은 스웨덴 출신으로 메이헴의 보컬이었다. 메이헴이 보컬을 모집할 때, 십자가에 못 박힌 쥐 시체와 데모 테이프를 보냈다. 그는 어릴 적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해 비장이 파열되는 폭행을 당했고, 일시적으로 임상 사망 상태가 되었다가 소생했다. 이 임사 체험 후 죽음에 사로잡혔다.

메이헴의 라이브 공연에서 그는 자신의 팔을 칼로 긋고, 그 피를 관객에게 뿌리고, 돼지 머리를 던지는 퍼포먼스를 했다. 그러나 어느 날, 데드는 자신의 양 손목과 목을 긋고, 산탄총으로 머리를 쏴 자살했다. 그의 시신은 유로니무스에 의해 촬영되었고, 두개골 조각은 멤버들에게 보내졌다.

3. 1. 4. 얀 악셀 "헬해머" 블롬베르그 (앤서니 데 라 토레)

얀 악셀 "헬해머" 블롬베르그no는 메이헴의 드러머이다. 전 멤버 만하임이 탈퇴한 후 메이헴에 합류했다. 이마에 두건을 쓰고 있으며, 드럼 스틱을 거꾸로 십자가 모양으로 교차하는 포즈를 취한다.[1] 파워풀한 드럼 연주가 특징이며, 멤버 중 유일하게 자택을 가지고 있고, 메이헴이라고 쓰인 밴을 타고 다닌다.[1]

3. 1. 5. 요른 "네크로부처" 스투베루드 (조나단 반웰)

요른 "네크로부처" 스투베루드no는 메이헴의 초기 베이시스트이자 오리지널 멤버였다.[1] 검은 머리에 수염을 기르고 있었다.[1] 유로니무스와 만하임과 함께 지하실에서 스튜디오 연습을 하거나 술을 마시는 생활을 했다.[1]

유일한 친구였던 데드의 죽음 이후, 유로니무스가 데드의 시체를 앨범 재킷으로 사용하려 한 것과 그의 두개골로 만든 액세서리를 받은 것에 격분하여 메이헴을 탈퇴했다.[1]

3. 1. 6. 아틸라 치하르 (아리온 치하르)

Csihar Attila|치하르 아틸라hu헝가리 출신으로, 데드를 대신하여 바르그 비케르네스와 함께 메이헴의 앨범 ''De Mysteriis Dom Sathanas'' 녹음에 세션 보컬로 참여했다.

3. 1. 7. 셰틸 만하임 (제임스 에드윈)

메이헴의 초기 드러머였다. 유로니무스, 네크로부처와 함께 밴드를 결성했다. 밴드에 싫증을 느껴 메이헴을 탈퇴했다.

3. 2. 기타 인물

배우역할배역 설명
로리 컬킨외스틴 "유로니머스" 오셰트메이헴의 창립자이자 기타리스트. 지하실에서 멤버들과 연습하거나 을 마시며 시간을 보냈다. 드럼 멤버가 탈퇴한 후 헬해머가 합류했고, 스웨덴에서 온 데드와 함께 4인조로 활동했다. "진정한 블랙 메탈"을 추구하며 메이헴 활동에 열중했고, 데드의 과격한 퍼포먼스로 밴드는 블랙 메탈 씬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데드의 죽음과 네크로부처의 탈퇴로 밴드는 다시 2인조가 되었지만, 유로니머스는 레코드 숍 헬베테(Helvete)를 거점으로 "누가 가장 사악한가"를 겨루는 이너 서클을 만들어 왕처럼 군림했다. 바르그를 베이시스트로 영입했으나, 바르그가 교회 방화 사건을 일으키면서 주도권 싸움이 격화되었다. 경찰의 감시로 헬베테를 폐점하게 된 유로니머스는 바르그가 이너 서클의 존재를 기자에게 폭로한 것에 분노하여 그를 전기 충격기로 기절시키고 에서 고문하려 했다. 또한 바르그의 음반 제작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 둘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바르그와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미지불 레코딩 비용을 지불하겠다"는 조건으로 계약서와 편지를 보냈지만,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되었다.
에모리 코헨크리스티안 "바르그" 비케르네스버줌의 보컬이자 메이헴의 베이시스트. 메이헴의 라이브를 보러 왔다가 유로니머스에게 말을 걸었지만 무시당했다. 이후 유로니머스의 레코드 숍 헬베테를 방문하여 메이헴의 세션 멤버로 합류했다. 버줌의 데모 테이프를 들은 유로니머스는 그의 프로듀싱을 맡아 어머니의 돈을 빌려 레코딩을 시작했다. 바르그는 교회를 방화하고, 유로니머스, 파우스트와 함께 또 다른 교회에 불을 지르는 등 과격한 행동을 이어갔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교회 방화를 자백한 바르그는 경찰에 체포되었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되었다. 유로니머스에게 레코딩 비용을 받지 못한 바르그는 그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유로니머스가 자신을 전기 충격기로 기절시키고 고문하려 한다는 계획을 알게 되었다. 유로니머스에게서 온 편지에 동봉된 계약서에 서명하고 을 들고 어떤 행동을 하게 된다.
잭 킬머펠레 "데드" 올린스웨덴 출신의 메이헴 보컬. 메이헴이 보컬리스트를 모집할 때, 십자가에 못 박힌 의 시체와 데모 테이프를 보내 합류했다. 어린 시절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해 비장이 파열되었고, 임상 사망 상태를 경험한 후 죽음에 사로잡혔다. 여우의 시체를 흡수하거나, 집 앞에서 전라가 되거나, 라이브 전에 의상을 흙 속에 넣고, 의 시체가 들어있는 종이봉투를 흡수하는 등 기이한 행동을 했다. 라이브에서는 자신의 로 긋고, 그 를 관객에게 뿌리고, 돼지 머리를 던지는 퍼포먼스를 했다. 어느 날, 데드는 집 안에서 양 손목과 목을 자르고 산탄총으로 자살했다. 그의 시신은 유로니머스에 의해 촬영되었고, 두개골 조각은 멤버들에게 보내졌다.
앤서니 드 라 토레얀 악셀 "헬해머" 블롬베르그메이헴의 드러머. 이전 멤버가 탈퇴한 후 밴드에 합류했다. 두건을 쓰고 드럼 스틱을 거꾸로 십자가 모양으로 잡는 것이 특징이며, 파워풀한 드럼 연주를 선보였다. 멤버들 중 유일하게 자신의 집을 가지고 있었고, 메이헴이라고 쓰인 밴 (자동차)을 몰고 다녔다.
조나단 반웰요른 "네크로부처" 스터베루드메이헴베이시스트이자 오리지널 멤버. 검은 머리에 수염을 기르고 있었다. 유로니머스와 만하임과 함께 지하실에서 연습하거나 을 마시는 생활을 했다. 유일한 친구였던 데드의 죽음 이후, 유로니머스가 데드의 시체를 앨범 재킷으로 사용하려 하고 그의 두개골로 만든 액세서리를 준 것에 분노하여 메이헴을 탈퇴했다. 이후 한동안 등장하지 않다가 후반부에 헬해머와 함께 다시 등장했다.
아리온 치샤르아틸라 치하르헝가리 출신의 메이헴 세션 보컬리스트. 데드를 대신하여 바르그와 함께 레코딩에 참여했다.
제임스 에드윈만하임 (셰틸 만하임)메이헴의 드러머이자 오리지널 멤버. 유로니머스의 집에서 잡지를 읽고 있을 때 유로니머스와 네크로부처에게 로 습격당할 뻔했다. 메이헴의 연습 도중 천장에 드럼 스틱이 박히기도 했다. 밴드에 싫증을 느껴 메이헴을 탈퇴했다.
발테르 스카르스고르드보르드 굴드비크 "파우스트" 에이툰엠페러의 전 드러머이자 블랙 서클의 일원. 레코드 가게 헬베테(Helvete)의 직원이었다. 펍에서 술을 마신 후, 동성애자에게 스토킹을 당해 로 그의 복부를 난자했다. 다음 날, 이 살인 사건이 보도되자 "자신이 했다"고 고백했고, 유로니머스와 바르그는 이를 축하하며 함께 교회를 방화했다. 헬베테를 정리하던 중, 바르그가 이너 서클의 존재를 기자에게 말했다는 것을 알게 된 유로니머스는 그를 전기 충격기로 기절시키고 고문하려 했다. 이후 파우스트는 살인 및 교회 방화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었다.
스카이 페레이라안-마릿사진작가를 지망하는 여성. 메이헴의 라이브 공연에 방문하여 밴드의 비공식 사진 등을 촬영하면서 유로니머스와 연인 관계가 된다.
샘 콜먼존 "메탈리온" 크리스티안센유로니머스의 친구이자 블랙 메탈 씬의 주요 인물. 거구에 긴 머리가 특징이며, 메이헴의 카메라맨이자 라이브 촬영자로 활동한다.
윌슨 곤잘레스 옥센크네흐트스노레 "블랙손" 루치바르그의 친구이자 인너 서클의 일원. 바르그의 운전사 역할을 했으며, 평소에는 조용했지만 바르그를 촬영하려는 카메라맨을 제지하는 등 과격한 면모를 보였다. 바르그와 함께 오슬로로 향하던 중 다이 하드 2를 봤는지 질문받았고, 취조 과정에서는 의미불명의 말을 하기도 했다.
구스타프 함마르스텐핀 텐더
루시안 찰스 콜리어스티안 "오컬투스" 요한센
아네테 마르틴센노르웨이 뉴스캐스터
앤드루 라벨귈베 "페너즈" 나겔
제이슨 아르노프본인
욘 외이가르덴마그네 안드레아센파우스트에게 살해당한 동성애자 남성.


3. 2. 1. 안-마릿 (스카이 페레이라)

스카이 페레이라가 연기한 안-마릿은 사진작가를 지망하는 여성이다. 메이헴의 라이브 공연에 방문하여 밴드의 비공식 사진 등을 촬영하면서 유로니머스와 연인 관계가 된다.

3. 2. 2. 보르드 굴드비크 "파우스트" 에이툰 (발테르 스카르스고르드)

엠페러의 전 드러머이자 블랙 서클의 일원이었다. 본명은 보르드 굴드비크 에이툰(Bård Guldvik Eithun)이다. 레코드 가게 헬베테(Helvete)의 직원이었다.

어느 날 펍에서 술을 마신 후, 동성애자에게 스토킹을 당해 로 그의 복부를 난자했다. 다음 날, 이 살인 사건이 보도되자 "자신이 했다"고 고백했고, 유로니머스와 바르그는 이를 축하하며 함께 교회를 방화했다.

헬베테를 정리하던 중, 바르그가 이너 서클의 존재를 기자에게 말했다는 것을 알게 된 유로니머스는 그를 전기 충격기로 기절시키고 고문하려 했다. 이후 파우스트는 살인 및 교회 방화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었다.

3. 2. 3. 존 "메탈리온" 크리스티안센 (샘 콜먼)

샘 콜먼은 존 "메탈리온" 크리스티안센(Jon "Metalion" Kristiansen영어) 역을 맡아 유로니머스의 친구이자 블랙 메탈 씬의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그는 거구에 긴 머리가 특징이며, 메이헴의 카메라맨이자 라이브 촬영자로 활동한다.

3. 2. 4. 스노레 "블랙손" 루치 (윌슨 곤잘레스 옥센크네흐트)

윌슨 곤잘레스 옥센크네흐트가 연기한 스노레 "블랙손" 루치는 바르그의 친구이자 인너 서클의 일원이었다. 그는 바르그의 운전사 역할을 했으며, 평소에는 조용했지만 바르그를 촬영하려는 카메라맨을 제지하는 등 과격한 면모를 보였다. 바르그와 함께 오슬로로 향하던 중 다이 하드 2를 봤는지 질문받았고, 취조 과정에서는 의미불명의 말을 하기도 했다.

4. 제작 과정

'''''로드 오브 카오스'''''는 마이클 모이니한과 디드리크 쇠데를린드가 1998년에 출판한 책 ''로드 오브 카오스''(페럴 하우스 출판)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4][5] 초기에는 일본의 영화 감독 소노 시온이 연출을, 잭슨 래스본바르그 비케르네스 역을 맡을 예정이었다.[4][5] 각본은 한스 피엘스타드, 라이언 페이지, 아담 파프레이(책의 출판인), 소노 시온이 공동 집필했다.[7][8][9] 그러나 래스본은 일정 문제로 하차했다.[11]

2015년 5월, 전 바토리 드러머이자 영화 감독인 요나스 오케르룬드가 감독으로 결정되었다.[12][13] 당초 2015년 가을 노르웨이에서 촬영 예정이었으나, 2016년까지 시작되지 않았다.[14] 로리 컬킨은 배역을 위해 머리를 길렀으나 촬영이 지연되자 머리를 자르기도 했다. 하지만, 2주 후 제작 확정을 받았다.[15]

영화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촬영되었고, 라이브 공연 장면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촬영되었다. 라이브 장면 촬영에는 메탈리카의 뮤직 비디오 "ManUNkind" 촬영도 포함되었다.[17] 불타는 교회는 실제 크기의 절반으로 제작되었고, ''블레이드 러너 2049'' 세트 목재로 만들어졌다.[15][16] 헝가리 블랙 메탈 밴드 본홀름이 컨설턴트로 참여해 배우들의 연주를 도왔다.[16]

유로니모스 역의 컬킨은 바르그 역의 코헨과 촬영 기간 동안 좋은 관계였지만, 마지막 촬영 장면에서는 전날부터 거리를 두었다고 한다. 아틸라 역의 아리온 시하는 아틸라 시하의 친아들이다. 오케르룬드는 아틸라와 친구였고, 촬영장에 방문하기도 했다.

교회 방화 장면은 실제로 촬영되었다. 노르웨이에서 실제 교회 영상을 찍고, 헝가리에서 20m 크기의 교회를 만들어 촬영했다. 작중 뉴스 영상은 실제 영상을 사용했다. 작중에 등장한 메탈리온은 실존 인물이며 오케르룬드와 연락을 주고받았다.

4. 1. 기획 및 각본

'''''로드 오브 카오스'''''는 마이클 모이니한과 디드리크 쇠데를린드가 1998년에 출판한 책 ''로드 오브 카오스''(페럴 하우스 출판)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4][5] 초기 기획 단계에서는 일본의 영화 감독 소노 시온이 이 책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연출하고, 잭슨 래스본바르그 비케르네스 역을 맡을 예정이었다.[4][5] 이는 소노 시온의 첫 영어 영화가 될 예정이었다. 각본은 한스 피엘스타드, 라이언 페이지, 아담 파프레이(책의 출판인), 소노 시온이 공동으로 집필했다.[7][8][9] 2009년 7월, 소노 시온은 노르웨이에서 촬영이 8월 또는 9월에 시작하여 12월에 끝날 것이라고 말했으며,[4][10] 영화는 2010년에 개봉될 예정이었다.[7] 그러나 이후 래스본이 일정 문제로 인해 비케르네스 역을 더 이상 맡지 않게 되었다고 발표되었다.[11]

2015년 5월, 전 바토리 드러머이자 영화 감독인 요나스 오케르룬드가 이 영화의 감독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2][13] 영화는 2015년 가을에 노르웨이에서 촬영될 예정이었지만,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2016년까지 촬영이 시작되지 않았다.[14]

4. 2. 감독 및 캐스팅

마이클 모이니한과 디드리크 쇠데를린드가 1998년에 출판한 책 ''로드 오브 카오스''를 바탕으로 영화가 제작되었다.[4][5] 원래는 일본의 영화 감독 소노 시온이 연출을 맡고, 잭슨 래스본바르그 비케르네스 역을 맡을 예정이었다.[4][5] 소노 시온의 첫 영어 영화가 될 예정이었으며, 각본은 한스 피엘스타드, 라이언 페이지, 아담 파프레이, 소노 시온이 공동 집필했다.[6][7][8][9] 2009년 7월, 소노 시온은 8월 또는 9월에 촬영을 시작하여 12월에 끝내고, 2010년에 영화를 개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4][7][10] 그러나 래스본이 일정 문제로 하차하게 되었다.[11]

2015년 5월, 전 바토리 드러머이자 영화 감독인 요나스 오케르룬드가 감독을 맡게 되었다.[12][13] 2015년 가을에 노르웨이에서 촬영될 예정이었으나, 2016년까지 촬영이 시작되지 않았다.[14] 로리 컬킨은 배역을 위해 길렀던 머리를 자르기도 했지만, 2주 후 제작이 시작된다는 확정을 받았다.[15] 헝가리의 블랙 메탈 밴드 본홀름은 컨설턴트로 참여하여 배우들의 연주 기술을 가르쳤다.[16]

영화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촬영되었고, 라이브 공연 장면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촬영되었다. 라이브 시퀀스 촬영에는 메탈리카의 뮤직 비디오 "ManUNkind" 촬영도 포함되었다.[17] 불타는 교회는 실제 크기의 절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부다페스트에서 촬영된 ''블레이드 러너 2049'' 세트의 목재로 만들어졌다.[15][16]

블랙 메탈의 여명기 중심에 있던 노르웨이의 밴드 "메이헴"의 광란의 청춘을, 논픽션 "로드 오브 카오스 블랙 메탈의 피로 얼룩진 역사"를 원작으로 영화화했다.[43][45] 중심 멤버였던 유로니모스를 주인공으로, 사타니즘을 표방하며 과격한 행동이 점차 제어 불능에 빠져가는 젊은이들의 폭주를 그렸다.

유로니모스 역의 컬킨은 바르그 역의 코헨과는 촬영 기간 동안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마지막 촬영 장면에서는 전날부터 거리를 두었다고 한다.

아틸라 역을 연기한 아리온 시하는 아틸라 시하의 친자식이다. 오케르룬드는 아틸라와 친구였으며, 촬영 현장에 방문한 적이 있다. 오케르룬드는 아리온과 이야기하기 전에 아틸라에게 "문제없나?"라고 묻자 "물론 좋은 아이디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아틸라와 그의 아내와 가족도 모두 지원해 주었다고 한다.

4. 3. 촬영

''로드 오브 카오스''는 마이클 모이니한과 디드리크 쇠데를린드가 1998년에 출판한 책인 ''로드 오브 카오스''(출판: 페럴 하우스)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4][5] 2015년 5월, 전 바토리 드러머이자 영화 감독인 요나스 오케르룬드가 이 영화의 감독을 맡게 되었다.[12][13]

영화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촬영되었으며, 라이브 공연 장면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촬영되었다. 이 라이브 시퀀스 촬영에는 영화 출연진이 출연하는 메탈리카의 뮤직 비디오 "ManUNkind" 촬영도 포함되었다.[17] 불타는 교회는 실제 크기의 절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부다페스트에서 촬영된 ''블레이드 러너 2049'' 세트의 목재로 만들어졌다.[15][16]

로리 컬킨은 첫 발표와 영화 개봉 사이에 영화에 대한 기대를 잃고 배역을 위해 길렀던 머리를 자르기까지 했지만, 2주 후에 제작이 시작된다는 확정을 받았다고 말했다.[15] 헝가리의 블랙 메탈 밴드 본홀름은 영화의 컨설턴트로 참여하여 컬킨과 다른 배우들이 그럴듯하게 연주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16]

유로니모스 역의 컬킨은 바르그 역의 코헨과는 촬영 기간 동안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그 장면(마지막 촬영)에 들어갈 때는 전날부터 거리를 두었다"고 말했다.

본작에 등장한 안마리는 아카랜드의 창작이다. 그러나 아틸라와 그의 아내에 따르면, 유로니모스 사망 몇 주 전에 함께 노르웨이에 머물렀으며, 그에게 여자친구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아틸라 역을 연기한 아리온 시하는 아틸라 시하의 친자식이다. 아카랜드는 아틸라와 친구였으며, 촬영 현장에 방문한 적이 있다. 아카랜드는 아리온과 이야기하기 전에 아틸라에게 "문제없나?"라고 묻자 "물론 좋은 아이디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아틸라와 그의 아내와 가족도 모두 지원해 주었다고 한다.

교회를 방화하는 장면은 실제로 촬영했다. 노르웨이에서 진짜 교회의 영상을 찍고, 헝가리에서는 실제로 교회를 만들었다. 촬영에 사용된 교회는 20m 정도의 작은 규모로 지어졌다.

작중에 방송된 뉴스 영상 중에는 실제 뉴스 영상을 사용했다.

작중에 등장한 메탈리온은 실존 인물이며 아카랜드와 연락을 주고받았다. 메탈리온을 연기한 샘 콜먼이 Facebook을 통해 메탈리온에게 연락을 했다.

5. 역사적 사실과의 비교

요나스 아커룬드 감독은 이 영화가 "진실과 거짓에 관한 것"이라고 묘사했다.[20] 그는 Dazed와의 인터뷰에서 "밴드의 오리지널 상품... 핵심적인 경찰 보고서뿐만 아니라 유로니무스의 음반 가게 헬베테와 밴드가 캠프를 치던 집에 대한 자세한 사진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20] 또한 유로니무스의 아파트와 비르케네스가 불태운 재건된 교회 등 외부 촬영에 실제 장소를 사용했다고 한다.[20]

영화는 블랙 메탈의 여명기 중심에 있던 노르웨이 밴드 "메이헴"의 광란의 청춘을 그린 논픽션 "로드 오브 카오스 블랙 메탈의 피로 얼룩진 역사"를 원작으로 한다.[43][45] 중심 멤버였던 유로니모스를 주인공으로, 사타니즘을 표방하며 과격한 행동을 일삼다 점차 제어 불능에 빠져가는 젊은이들의 폭주를 허구와 사실을 섞어 대담하고 섬세하게 그려낸다.

영화 속 묘사와 실제 사실 간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안마리: 영화에 등장하는 안마리는 아커룬드 감독의 창작 인물이다. 그러나 아틸라와 그의 아내에 따르면, 유로니무스 사망 몇 주 전에 함께 노르웨이에 머물렀으며, 그에게 여자친구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 교회 방화 장면: 교회 방화 장면은 실제로 촬영되었다. 노르웨이에서 진짜 교회 영상을 찍고, 헝가리에서는 실제로 20미터 정도의 작은 교회를 만들어 촬영에 사용했다.
  • 뉴스 영상: 작중에 방송된 뉴스 영상 중에는 실제 뉴스 영상을 사용했다.
  • 메탈리온: 작중에 등장한 메탈리온은 실존 인물이며 아커룬드와 연락을 주고받았다. 메탈리온을 연기한 샘 콜먼이 Facebook을 통해 메탈리온에게 연락을 했다.
  • 아틸라: 아틸라 역을 연기한 아리온 시하는 아틸라 시하의 친자식이다. 아커룬드는 아틸라와 친구였으며, 촬영 현장에 방문한 적이 있다. 아커룬드는 아리온과 이야기하기 전에 아틸라에게 "문제없나?"라고 묻자 "물론 좋은 아이디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아틸라와 그의 아내와 가족도 모두 지원해 주었다.
  • 바르그와 유로니무스: 유로니모스 역의 로리 컬킨은 바르그 역의 에모리 코헨과는 촬영 기간 동안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마지막 촬영 장면에서는 전날부터 거리를 두었다고 말했다.

5. 1. 데드 관련 묘사

영화에서 잭 킬머가 연기한 데드는 가장 정확한 묘사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몇 가지 실제와 다른 점이 있었다. 영화 속 데드는 고양이를 방에 매달아 놓는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실제 데드는 고양이를 죽이지 않고 쫓아낸 적만 있었다.[21] 영화에서는 라이브 인 예스하임 장면 직후 데드의 자살 장면으로 넘어가지만, 실제로는 두 사건 사이에 1년의 시간 차이가 있었고, 그동안 데드와 유로니무스 사이에 불화와 적대감이 있었다. 영화에서는 유로니무스가 데드에게 샷건을 흔들며 자살을 암시하는 장면만 간략하게 묘사되었다.[21] 데드가 "우리는 혼돈의 군주다"라고 외치는 장면은 시대착오적인 묘사이다.[21] 이 명칭은 실제로는 관련 없는 미국 범죄 집단에서 유래했다.[21]

5. 2. 유로니무스 관련 묘사

로리 컬킨은 유로니무스 역을 준비하면서 그의 측근들과 상의했는데, 그들은 유로니무스를 신화 속 존재에 비유했다고 한다. 한 사람은 그를 고블린 같다고 했고, 다른 사람은 사악한 요정 같다고 표현했다. 이들에 따르면 유로니무스는 작지만 자신감이 넘쳤고, 그를 따르는 무리가 있어 사람들이 그를 과장하고 영웅화했다.[20]

요나스 아커룬드 감독은 영화를 "진실과 거짓에 관한 것"이라고 묘사하며, 유로니무스의 음반 가게 헬베테와 밴드가 캠프를 치던 집에 대한 자세한 사진, 핵심적인 경찰 보고서 등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유로니무스의 아파트와 비르케네스가 불태운 재건된 교회 등의 외부 촬영에 실제 장소를 사용했다.[20]

카와시마 미라이는 생전 유로니무스와 여러 차례 전화 통화를 했으며, 1993년 여름 노르웨이에 갈 계획을 세웠으나, 같은 해 8월 10일 유로니무스가 살해당하면서 대면하지 못했다. 카와시마는 유로니무스의 사망 3일 전에 마지막으로 연락했다고 회고했다.

5. 3. 기타 왜곡 논란

영화에서 데드는 시대착오적으로 "우리는 혼돈의 군주다"라고 외친다.[21] 이 명칭은 관련 없는 미국 범죄 집단에서 유래했으며, 이들의 이름이 책 ''혼돈의 군주''에 차용되었지만, 이 책의 내용은 노르웨이 블랙 메탈 신에만 국한되지 않았다.[21]

잭 킬머는 밴드의 프론트맨 데드를 연기하여 영화에서 가장 정확한 묘사를 보여줬다는 찬사를 받았지만, 한 장면에서 고양이를 방에 매달아 놓는 것은 예외였다. 실제 데드는 고양이를 죽인 적은 없지만, 재미로 쫓아낸 적은 있었다. 라이브 인 예스하임 장면이 데드의 자살로 바로 건너뛰는 것에 대한 비판이 있었는데, 두 사건 사이에는 1년의 시간이 있었고 데드와 유로니무스의 이후 불화와 적대감은 유로니무스가 데드 앞에서 조롱하며 샷건을 흔들며 자살하라고 암시하는 한 장면 외에는 묘사되지 않았다. 바르그가 데드가 유로니무스를 찌른 시간은 영화에 묘사되지 않았다.

6. 반응 및 평가

《로드 오브 카오스》는 2018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된 후, 여러 국가에서 극장 및 VOD로 출시되었다.[22][23][24][25][26] 이 영화는 블랙 메탈의 여명기 중심에 있던 노르웨이 밴드 메이헴의 광란의 청춘을, 논픽션 "로드 오브 카오스 블랙 메탈의 피로 얼룩진 역사"를 원작으로 하여 만들어졌다.[43][45] 사타니즘을 표방하며 과격한 행동을 일삼던 유로니모스를 중심으로, 젊은이들의 폭주를 그려냈다.

영화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위 섹션인 === 평론가들의 평가 ===, === 블랙 메탈 씬 관계자들의 반응 === 에서 상세하게 다룬다.)

6. 1. 평론가들의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75명의 평론가가 참여하여 73%의 신선도와 6.7/10의 평점을 주었다. 이 사이트에서는 "로드 오브 카오스"가 공격적인 허무주의적 미학이 치명적인 폭력으로 이어진 실제 음악 장면을 어둡고 설득력 있게 극화했다는 평가를 내렸다. 메타크리틱에서는 17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48점을 받아 "혼합 또는 평균적인 평가"를 받았다.[27]

할리우드 리포터의 저스틴 로는 "로드 오브 카오스"를 "경외심과 혐오감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생동감 넘치는 전기 영화"라고 칭찬했다.[28] 버라이어티의 에이미 니콜슨은 "[요나스 오케르룬드] 감독은 이 미성숙한 아이들을 영웅화하는 것을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로드 오브 카오스'는 엄청나게 재미있다. ... 그는 또한 젊은 배우들에게 훌륭한 연기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29] 인디와이어의 마이클 노딘은 이 영화에 B등급을 부여하며 "로드 오브 카오스는 종종 불쾌하지만 이상하게 매력적이다. [요나스 오케르룬드] 감독은 영화가 주제만큼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라고 평가했다.[30]

반면, A.V. 클럽의 케이티 라이프는 "[요나스 오케르룬드] 감독의 [노르웨이 블랙 메탈 씬]에 대한 이해는 경멸에 가깝다"고 비판했다.[31] 롤링 스톤의 코리 그로우는 "아마도 영화의 최악의 죄는 그 톤일 것이다 ... 재미있지도 않고, 슬프지도 않다. 대부분의 경우 그다지 흥미롭지도 않다"고 혹평했다.[21] 컨시퀀스의 로버트 햄은 "[요나스 오케르룬드] 감독이 [블랙 메탈] 관객을 유혹하거나, 음악을 기념하면서도 일부 최악의 인물들의 행동을 정당하게 비난하는 중간 지점을 찾기보다는, 그는 비웃으며 폄하하며 장르의 탄생을 잘못 보낸 젊음의 산물로 치부한다"고 비판했다.[32]

뉴욕 타임스의 마놀라 다기스는 이 영화가 "일관되거나 흥미로운 관점을 결코 확립하지 못했다. 톤은 어리석음에서 으스스함으로 비생산적으로 바뀌며, 이는 [요나스 오케르룬드] 감독이 편집 과정에서 여전히 그것을 파악하고 있었다는 느낌을 준다"고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3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로버트 아벨은 "결국 이 모든 것이 이 부식성 집단이 추종자들에게 왜 그렇게 매력적이었는지에 대한 통찰력 없이 다양한 스타일과 태도의 뒤범벅으로 이어진다"고 평가했다.[34]

6. 2. 블랙 메탈 씬 관계자들의 반응

아틸라 치하르는 2019년 1월 인터뷰에서 영화와 제작자에 대한 메이헴 멤버들의 공식적인 입장은 "엿 먹어라"라고 말했다. 그는 영화가 책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당시의 블랙 메탈 씬 전체가 아닌 1990년대의 메이헴에만 초점을 맞췄다고 지적했다. 그는 몇몇 토르멘터의 곡들이 영화에 등장하며, 자신은 아들 아리온 치하르가 연기했다고 확인했다.[35] 아틸라 본인은 교회 방화 장면 촬영에 참여했다.[36] 2019년 5월 인터뷰에서는 영화가 현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스토리 제시 방식에 동의하지 않으며, 등장인물들이 "바보"로 묘사되었다고 비판했다.[37]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영화를 "지어낸 쓰레기"라고 혹평하며, 유대인 배우가 자신을 연기한 것과 플롯 요소에 반대하며, 묘사를 "캐릭터 살인"이라고 불렀다.[38]

네크로부처는 영화를 본 후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그는 제작 가치와 의상의 정확성을 칭찬했지만, 영화가 "슬프고" "좋은 영화가 아니다"[39][40]라고 언급했으며, 살인 장면을 보는 것이 감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41] 또한 영화 발표에 대한 메이헴의 초기 부정적인 반응에 대해 언급하며, 밴드가 영화 제작이 시작된 후에야 접근했기 때문에 격렬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39][40] 그는 러프 컷을 본 후 영화에 메이헴의 음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했으며,[41] 궁극적으로 영화가 밴드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언급했다.[39][40]

7. 수상 내역

영화제부문결과
선댄스 영화제공식 출품
런던 영화제공식 출품
스톡홀름 국제 영화제공식 출품
파리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공식 출품
시체스 영화제작품상후보
모린 영화제최우수 작품상수상
주연 남우상수상
감독상후보
각본상후보
Splat 영화제관객상 부문 최우수 감독상수상
최우수 쇼크 영화상수상


8. 기타

이 영화는 2018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다.[22] 이후 애로우 필름스(Arrow Films)가 영국 배급권을 확보하여 2019년 3월 29일에 개봉했고,[23][24] 미국에서는 2019년 2월 8일에 극장 개봉, 구너파우더 앤 스카이(Gunpowder & Sky)를 통해 2019년 2월 22일에 주문형 비디오로 출시되었다.[25] 스웨덴에서는 2019년 4월 5일 노르디스크 필름(Nordisk Film)에 의해 개봉되었다.[26]

2021년 7월 21일 일본에서는 R-15 등급으로 편집된 버전이 Paravi, TSUTAYA TV,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여러 동영상 배포 서비스를 통해 선행 디지털 배포되었다.

2021년 10월 6일에는 일본에서 여러 특전과 함께 블루레이/DVD가 출시되었다.

구분내용
영상 특전오리지널 예고편 편집 (4종), 일본판 예고편 편집 (2종), 미공개 장면 모음 (11종)
봉입 특전오리지널 외장 상자, LORDS OF CAOS POSER 사코슈, 책자
한정판 특전BLACK BOX & POSER 티셔츠 & 오리지널 북커버 (티셔츠 부착 한정판), BLACK BOX & POSER 티셔츠 & 엽서 3종 세트 (PGS 한정 특전)



; 용어 해설


  • '''로드 오브 카오스''': 데드가 내뱉은 말로, 혼돈의 패자라는 의미.
  • '''메이헴''': 유로니모스를 중심으로 결성된 블랙 메탈 밴드. 초기에는 네크로부처, 만하임과 함께 3인조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헬해머, 데드가 합류하여 4인조가 되었다. 데드의 죽음과 네크로부처의 탈퇴 이후 보컬과 베이스가 공석이 되자, 발그와 아틸라가 세션 멤버로 참여하여 1992년 9월경부터 메이헴의 첫 번째 앨범인 ''De Mysteriis Dom Sathanas''를 녹음했다.
  • '''버줌''': 발그를 중심으로 결성된 1인 밴드. 유로니모스는 버줌의 데모 테이프를 듣고 프로듀서를 자처했고, 발그는 어머니에게 돈을 빌려 레코딩을 시작했다.
  • '''데드의 죽음''': 1991년 4월 8일, 데드는 자택에서 자신의 양팔과 목을 칼로 베고, 샷건으로 머리를 쏴 자살했다. 유로니모스는 데드의 시체를 발견하고 사진을 찍었으며, 그의 해골을 액세서리로 만들어 멤버들에게 보냈다.
  • '''헬베테''': 유로니모스가 오슬로 뒷골목에서 운영했던 레코드 가게. 블랙 메탈 밴드 멤버들과 인너 서클이라는 집단을 구성하여 교회 방화 등 범죄 행위를 저질렀다. 그러나 발그의 교회 방화로 인해 경찰의 감시를 받게 되면서 폐점하게 되었다.
  • '''블랙 메탈 인너 서클''': 유로니모스를 중심으로 1990년대 초 노르웨이의 블랙 메탈 밴드와 그 관계자들을 지칭하는 서클. 유로니모스, 발그, 파우스트, 헬해머, 메탈리온 등이 속해 있었으며, 메이헴, 버줌, 엠페러 등의 밴드가 관련되어 있다.
  • '''데스라이크 사일런스 프로덕션''': 유로니모스가 설립한 노르웨이 오슬로에 있던 인디 레이블. DSP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 '''교회 방화 사건''': 1992년 6월 6일, 발그베르겐에 있는 판토프트 스타브 교회를 방화했다. 같은 해 발그는 유로니모스와 함께 빈다피오르드의 쇼르드 교회를 방화했고, 파우스트의 살인 사건 이후인 8월 23일에는 발그, 유로니모스, 파우스트 세 명이 홀멘콜렌 교회를 방화했다.
  • '''악마 숭배자''': 사타니즘을 의미한다. 데드의 과격한 라이브 퍼포먼스와 코프스 페인트는 메탈 신에서 큰 영향을 주었다. 유로니모스는 "누가 가장 사악한가"를 경쟁하는 언더그라운드 집단 "인너 서클"을 결성했고, 발그의 교회 방화, 파우스트의 살인 사건 등은 사회 문제로 발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ords of Chaos (2019) https://web.archive.[...] British Film Institute
[2] 웹사이트 Lords of Chaos (2019)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020-12-30
[3] 웹사이트 Lords of Chaos review – distressingly violent black-metal horror https://www.theguard[...] 2019-03-28
[4] 뉴스 Japan's Sion Sono summons Lords of Chaos for English debut http://www.screendai[...] 2009-12-01
[5] 뉴스 BURZUM Mastermind To Be Portrayed By 'Twilight' Heartthrob In 'Lords Of Chaos' Movie http://www.roadrunne[...] 2009-12-01
[6] 웹사이트 Lords of Chaos Movie to Go into Production in May http://www.roadrunne[...] 2007-08-11
[7] Webarchive Official site http://www.locthemov[...] 2004-12-11
[8] 뉴스 Twilight's Rathbone Is Lord Of Chaos https://empireonline[...] 2009-12-01
[9] 뉴스 Sion Sono shooting 'Lords of Chaos' in Norway this spring http://www.nipponcin[...] Nippon Cinema 2009-12-01
[10] 뉴스 Channeling Chaos – An Interview with Sion Sono http://www.3ammagazi[...] 2009-12-01
[11] 웹사이트 Twilight Man Drops Out Of 'Lords Of Chaos' Movie http://www.metalhamm[...] 2010-01-07
[12] 웹사이트 Cannes: Jonas Akerlund to Direct 'Lords of Chaos' for Ridley Scott's Scott Free, RSA, Vice https://variety.com/[...] 2018-01-23
[13] 웹사이트 Jonas Akerlund to Direct Film Based on Mayhem's Euronymous http://loudwire.com/[...] 2018-01-23
[14] 웹사이트 'Lords Of Chaos' Norwegian Black-Metal Movie Shooting In Oslo: First Look http://www.blabbermo[...] 2018-01-23
[15] 간행물 Appetite for Destruction 2019-02
[16] 웹사이트 'Lords of Chaos': Rory Culkin on Murder, Mayhem, Sex Scenes in Corpse Paint https://www.revolver[...] 2019-02-05
[17] 간행물 Watch Metallica's Bloody, Black Metal-Channeling 'ManUNkind' Video https://www.rollings[...] 2016-11-16
[18] Youtube About the 'Lords of Chaos' movie https://www.youtube.[...] 2018-01-22
[19] 간행물 Jonas Akerlund on Black Metal, Mayhem and the Making of 'Lords of Chaos' https://web.archive.[...] 2018-03-31
[20] 웹사이트 Lords of Chaos: heavy metal https://www.dazeddig[...] 2019-03-19
[21] 간행물 'Lords of Chaos' Review: Black Metal Biopic Should Be Burned at the Cross https://www.rollings[...] 2019-03-19
[22] 웹사이트 Lords of Chaos https://web.archive.[...] 2018-01-22
[23] 웹사이트 Arrow Nabs 'Lords of Chaos' for U.K., Black Metal Movie Set for Early 2019 U.S. Release https://variety.com/[...] 2018-10-12
[24] 웹사이트 Church groups want 'Lords of Chaos' movie to be banned https://i-d.vice.com[...] 2019-02-15
[25] 웹사이트 Lords of Chaos Poster Reveals a Black Metal Rory Culkin https://collider.com[...] 2021-05-02
[26] 웹사이트 Lords of Chaos (2018) http://www.svenskfil[...] Swedish Film Database 2021-05-02
[27] 웹사이트 Lords of Chaos reviews https://www.metacrit[...] 2020-12-30
[28] 웹사이트 ''Lords of Chaos': Film Review – Sundance 2018' https://www.hollywoo[...] 2018-02
[29] 웹사이트 Film Review: 'Lords of Chaos' https://variety.com/[...] 2019-03-19
[30] 웹사이트 'Lords of Chaos' Review: This Black Metal Drama Is Fittingly Grim and True https://www.indiewir[...] 2019-03-19
[31] 웹사이트 The fresh, the stale, and the outrageously bloody all faced off at Fantastic Fest 2018 https://www.avclub.c[...] 2018-10-02
[32] 웹사이트 Film Review: Lords of Chaos Forces Too Much Light Into the Birth of Black Metal https://consequence.[...] 2021-05-02
[33] 웹사이트 'Lords of Chaos' Review: Where Anomie and Speed Metal Meet Doom https://www.nytimes.[...] 2019-03-19
[34] 웹사이트 'Review: ''Lords of Chaos'' skims the surface of bloody killings, Satanic rituals and black metal' https://www.latimes.[...] 2019-02-13
[35] Youtube Tormentor - V. Rattle Inc. olvasótalálkozó 2019.01.05. Jelen bár (english subtitle) https://www.youtube.[...] 2019-01-24
[36] 웹사이트 Attila with director Jonas Åkerlund https://www.instagra[...] 2019-03-07
[37] 웹사이트 Csihar Attila: Nem örülünk, hogy a mi nevünkhöz fűződnek a templomégetések https://24.hu/kultur[...] 2019-05-15
[38] 뉴스 Varg Vikernes slams Lords of Chaos movie, questions why he's portrayed by "fat Jewish actor" https://consequence.[...] 2019-01-29
[39] 웹사이트 Mayhem's Necrobutcher Reviews ''Lords of Chaos'' https://www.metalsuc[...] 2019-10-31
[40] 웹사이트 Mayhem React to Lords of Chaos Movie https://www.youtube.[...] 2019-10-22
[41] 웹사이트 MAYHEM's NECROBUTCHER Says He Felt 'Sick' Watching EURONYMOUS Murder Scene In 'Lords Of Chaos' Movie https://www.blabberm[...] 2019-12-17
[42] 웹사이트 Church groups want 'Lords of Chaos' movie to be banned https://i-d.vice.com[...] 2019-02-12
[43] 뉴스 悪魔崇拝主義を標榜したブラック・メタルバンド「メイヘム」の狂乱を描く「ロード・オブ・カオス」3月26日公開 https://eiga.com/new[...] 映画.com 2020-12-25
[44] Box Office Lords of Chaos - Box Office Mojo https://www.boxoffic[...]
[45] 뉴스 日本公開決定、ブラック・メタル界の実話を描いた『ロード・オブ・カオス』 https://www.barks.jp[...] BARKS 2020-12-25
[46] 뉴스 実話なのに指定!バンド映画『ロード・オブ・カオス』公開決定 https://screenonline[...] SCREEN ONLINE 2020-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